rendering

멀티 스레드 렌더링 (Multi Thread Rendering)
왜 해야할까? Direct3D 11 이전의 그래픽스 API는 단일 스레드에서 실행되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설계되었다. 암시적인 동기화 지점이 존재해서 API를 호출하고 난 다음 GPU의 처리가 완료 되었을 때 이후의 코드가 실행된다, 문제는 이렇게 순서를 맞춰서 진행하는 방식은 CPU와 GPU를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점이다. CPU 계산 중에 GPU는 제출된 명령이 없기 때문에 아무런 일도 하지않고 CPU의 처리를 기다리게 되고 렌더링 중에는 동기화 지점으로 인해서 CPU는 GPU의 처리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게 된다. 따라서 CPU와 GPU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스레드를 분리하여 렌더링과 CPU 계산이 동시에 이뤄지도록 해야한다. GPU가 무언가를 그리도록 요청하기 위해서 그래픽스 API를 ..

렌더링 파이프라인 순서 및 기본 설명과 기본 지식 (Rendering Pipeline)
고정 기능 파이프 라인( Fixed Pipeline ) - D3D에 미리 정해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이 고정기능 파이프라인이다. - 정해진 연산만 수행하므로 프로그래머가 GPU 연산에 관여할 수 없다. 프로그래머블 파이프라인 ( Programmable Pipeline ) - 고정 기능 파이프 라인에서 제공하는 것 이외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 생겨난 프로그래머블 파이프 라인이다. - 프로그래머가 GPU의 연산에 직접 관여할 수 있다. - 고정적으로 제공하던 셰이더( Shader )를 프로그래머가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게끔 제공하게 되었다. 고정 기능 파이프라인과 프로그래머블 파이프라인의 차이점 - 프로그래머가 GPU 연산에 관여할 수 있냐? 없냐? 차이 < 정확하게 말하면, Fix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