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RESTful API 란
REST APIREST API 에서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즉, 자원을 이름 (자원의 표현) 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 (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월드 와이드 웹 (WWW) 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REST의 구체적인 개념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 (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Python] None
None값이 없음, 알 수 없음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정수 0이나 빈 문자열 ""과는 다르다.score_100 = 100score_0 = 0score_none = Noneprint(score_none)// NoneNone과 NoneTypeNone은 NoneType 타입의 객체다print(type(None))// int, str과 같은 일반적인 타입들과 다르게, NoneType은 빌트인에 존재하지 않는다.print(int)print(int)print(NoneType)// 결과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example.py", line 3, in print(NoneType)NameError: name 'NoneType' is not defined Py..
[실3] 16967 - 배열 복원하기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using IntPair = pair;int main() { int h, w, x, y; cin >> h >> w >> x >> y; vector> v(h + x, vector(w + y)); for (int i = 0; i > v[i][j]; } for (int i = x; i
[Python] 인덱싱과 슬라이싱 : 음수 인덱스
문자열과 리스트는 Iterable (순회할 수 있는) 객체다.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들을 모아 놓은 배열이고, 리스트는 다양한 값을 모아 놓은 배열이다. 이 두 자료형의 원소에는 위의 그림처럼 인덱스(순서)가 있다. 편의 상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정순(정방향),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역순(역방향)이라 하면 인덱스에는 대소 관계가 있는데 정순이라면 왼쪽의 인덱스일수록 작은 값입니다. 역순이라면 오른쪽의 인덱스일수록 작은 값이다. 파이썬에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잘 활용하시려면 인덱스의 대소 관계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인덱싱 (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인덱싱(Indexing)은 문자열이나 리스트와 같은 컬렉션 자료형에서 기준값으로 개별 원소에 접근하는 방법이..
[실4] 2217 - 로프
int input[100001];int n, ans;int main() { cin >> n; for (int i = 0; i > input[i]; sort(input, input + n); for (int i = 0; i
[실5] 10814 - 나이순 정렬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using IntPair = pair;#define MAX 201int main() { int n; cin >> n; map m; vector> v(MAX); for (int i = 0; i > a >> str; v[a].push(str); } for (int i = 0; i
[실5] 4673 - 셀프 넘버
#define MAX 10001int SelfNumber(int n){ int sum = n; while (n) { sum += n % 10; n /= 10; } return sum;}int main() { bool chk[MAX]{ false }; for (int i = 1; i
[실4] 1748 - 수 이어 쓰기 1
#include using namespace std;//using IntPair = pair;int main() { int n, res = 0; cin >> n; for (int i = 1; i
[브2] 17608 - 막대기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 int n; cin >> n; vector v(n); for (int i = 0; i > v[i]; int cnt = 0, max = 0; for (int i = n - 1; i >= 0; i--) { if (v[i] > max) { max = v[i]; cnt++; } } cout
[실5] 1418 - K-세준수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 int n, k, res = 0; cin >> n >> k; for (int i = 1;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