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SQL]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하기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CREATE DATABASE ;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테이블을 저장해두는 저장소를 의미함 MySQL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스키마라고 생각해도 상관 없음 (DBMS에따라 데이터베이스와 스키마를 동일한 개념이라고 보지 않는 경우도 있음)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파일을 묶고 있는 '폴더'와 비슷한 개념, 컴퓨터에서도 폴더를 먼저 만들고 파일을 생성하는 것처럼 보통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만들고 테이블을 생성함 예시 '성적'이라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성적;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 , , , ...); CREATE TABLE문을 사용하여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문으로 테이블을 만든 후 칼럼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에는, alter table add (칼..
[Python] Tuple (튜플) 사용 방법
사용 방법과 주의 사항 t1 : 빈 튜플 만들기 t2 : 한개의 데이터가 들어있는 튜플 t3 : 숫자형 데이터가 들어있는 튜플 t4 : 괄호( )를 생략해도 튜플로 만들어진다 t5 : 문자열 튜플 t6 : 숫자와 문자열 혼합 t7 : 튜플안에 또 다른 튜플 ※ 튜플을 만들때 주의사항을 정리해보자면, 튜플이 1개의 데이터만 가질 때는 뒤에 꼭 콤마를 붙여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튜플 형태가 아닌 해당 데이터 타입으로 type이 출력된다. 값 추출 (Indexing) 인덱싱 튜플은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들의 순서가 있다. 따라서 튜플에서도 인덱싱이 가능하다. 튜플을 만들 때는 소괄호 ( )를 사용하고, 인덱싱을 할 때는 [ ]를 사용하면 된다. 값 추출 (Slicing) 슬라이싱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튜..
[Python] Tuple (튜플)과 List(리스트)의 공통점/차이점
공통점 1. 길이를 갖는다 튜플(Tuple)과 리스트(List)는 길이가 있다. 따라서 len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a = [1,2,3] ## 리스트 b = (1,2,3) ## 튜플 print('a의 길이 :', len(a)) print('b의 길이 :', len(b)) 2. 언패킹이 가능하다 언패킹(Unpacking)이란 여러 변수를 한 번에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튜플(Tuple)과 리스트(List)는 이러한 언패킹이 가능하다. a = [1,2,3] ## 리스트 b = (7,8,9) ## 튜플 ## 언패킹(Unpacking) x1, x2, x3 = a y1, y2, y3 = b print(x1, x2, x3) print(y1, y2, y3) 3. index,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튜플(..
파이썬으로 문제 풀 때 주의해야할 점들
1. input() 말고 sys.stdin.readline() 를 사용하자. 결론만 말하자면, 입출력 속도가 다음과 같다. sys.stdin.readline() > raw_input() > input() 뭐 어느정도로 더 빠르고 느리냐는, 코딩 테스트 문제푸는 수준에서 다룰만한 내용이 아니므로 넘어가도록 하고, 직관적으로만 느꼈던 것은, input() 으로 코드를 제출할 시, 시간초과가 뜨지만, sys.stdin.readline() 으로 제출할 시 정답이 뜨더라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이슈는 이미 이전부터 있었다. 참고 링크 : https://www.acmicpc.net/board/view/19327 한편, 나는 입출력을 지금까지 이런 방식으로 했다. a = [int(x) for x in input()...
파이썬 1157 - 단어 공부
str=input().lower() wordList=list(set(str)) cnt=[] for i in wordList: tmp=str.count(i) cnt.append(tmp) if cnt.count(max(cnt)) >= 2: print('?') else: print(wordList[(cnt.index(max(cnt)))].upper())
[C++] lower bound, upper bound
lower bound lower bound는 찾고자 하는 값 이상이 처음 나타나는 위치다. lower bound의 경우에는 같은 원소가 여러개 있더라도 상관없다. 찾고자 하는 값 이상의 값이 처음 나타나는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이분탐색 방법에서의 조건을 조금 변경하면 된다. [문제] n개로 이루어진 정수 집합에서 원하는 수 k이상인 수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위치를 찾으시오. 단, 입력되는 집합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으며(이분 탐색 가능), 같은 수가 여러개 존재할 수 있다. 입력) 첫 줄에 한 정수 n이 입력된다.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셋째 줄에는 찾고자 하는 값 k가 입력된다. (단, 2 0) { m = (s + e) / 2; if (A[m] < k) s = m + ..
[C++] Iterator (반복자)
개념 C++ 라이브러리는 반복자를 제공하는데 이것을 사용하면 라이브러리의 방식대로 자료구조를 액세스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가 효과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보장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포인터와 상당히 비슷하며,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있는 원소들을 참조할 때 사용한다. 추상적으로 말하자면, 반복자란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원소들을 전체적으로 훑어 나갈 때 사용하는, 일종의 포인터와 비슷한 객체라고 할 수 있다. 알고리즘 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컨테이너를 훑어가기 때문에, 반복자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게 된다. 성질 -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안의 있는 요소를 구별 - 요소의 값 확인 - 컨테이너 안에 있는 요소들 간에 이동할 수 있는 연산 제공 - 컨테이너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
[C++] iterator (반복자) vector와 list의 비교
개념 어떤 컨테이너(자료구조)에 접근하든 동일한 방법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객체. 반복자는 원소의 위치를 갖고 있는 포인터와 비슷한 형태이다. 반복자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벡터와 리스트의 접근 방식을 비교해보자. 벡터는 배열 기반으므로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인덱스 연산으로 임의 접근이 가능하고, 인덱스에 넣은 값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순회도 가능하다. 모든 컨테이너에 이런 간단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면 반복자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컨테이너들마다 접근 방식이 다르다. 하지만 리스트는 우선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벡터처럼 인덱스 로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다른 방법으로 순회를 해야 한다. 리스트는 현재 가리키고 있는 노드와 다음 노드의 주소..
[C++] map value sort - 맵 값 정렬
Map 컨테이너에서 처음 선언하는 방식의 따라 Key 기준으로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지정할 수 있지만 만약 Key가 아닌 Value를 비교하여 정렬을 하고 싶을 경우라던지 단순히 오름차순, 내림차순이 아닌 특정 조건에 의하여 정렬을 하고 싶을 경우 Map을 Vector로 변환한다음 Vector에서 정렬을 하던것처럼 해주면 된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pair ii; int main() { map map; map[5] = 20; map[2] = 50; map[3] = 10; map[4] = 40; map[1] = 30; map[6] = 60; for (auto it : map) { cout
[LeetCode] Majority Element
#include using Intpair = pair; class Solution { public: int majorityElement(vector& nums) { map m; for (const auto& item : nums) m[item]++; vector v(m.begin(), m.end()); sort(v.begin(), v.end(), [&](Intpair& lRef, Intpair& rRef) { return lRef.second < rRef.second; }); return (*(v.end() - 1)).firs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