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velingLife
A Game Programmer
ShovelingLif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76) N
    • 그래픽스 (57)
      • 공통 (19)
      • 수학 물리 (22)
      • OpenGL & Vulkan (1)
      • DirectX (14)
    • 게임엔진 (184)
      • Unreal (69)
      • Unity (104)
      • Cocos2D-X (3)
      • 개인 플젝 (8)
    • 코딩테스트 (221)
      • 공통 (7)
      • 프로그래머스 (22)
      • 백준 (162)
      • LeetCode (19)
      • HackerRank (2)
      •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8)
    • CS (235)
      • 공통 (21)
      • 네트워크 (44)
      • OS & 하드웨어 (55)
      • 자료구조 & 알고리즘 (98)
      • 디자인패턴 (6)
      • UML (4)
      • 데이터베이스 (7)
    • 프로그래밍 언어 (350) N
      • C++ (168)
      • C# (90)
      • Java (9)
      • Python (34) N
      • SQL (30)
      • JavaScript (8)
      • React (7)
    • 그 외 (10)
      • Math (5)
      • 일상 (5)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Source Code 좌측 상단에 복사 버튼 추가 완료
  • 언리얼 엔진 C++ 빌드시간 단축 꿀팁
  • 게임 업계 코딩테스트 관련
  • 1인칭 시점으로 써내려가는 글들

인기 글

태그

  • 유니티
  • 함수
  • 파이썬
  • c#
  • C++
  • 언리얼
  • 포인터
  • 배열
  • Unity
  • 프로그래머스
  • 클래스
  • 알고리즘
  • SQL
  • C
  • 티스토리챌린지
  • 백준
  • 그래픽스
  • 문자열
  • 오블완
  • string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ShovelingLife

A Game Programmer

[Unity] 강체(RigidBody) AddForce에 대한
게임엔진/Unity

[Unity] 강체(RigidBody) AddForce에 대한

2022. 12. 7. 11:40

정의

Rigidbody에서 엄청 많이 쓰이는 AddForce를 알아보자

 

2가지 형태가 있다. 

  • public void AddForce(Vector3 force, ForceMode mode = ForceMode.Force);
  • public void AddForce(float x, float y, float z, ForceMode mode = ForceMode.Force);

쉽게 말하면  AddForce(방향*힘 값, 힘의 종류) 라고 보면 된다.

AddForce는 Rigidbody에게 힘을 전달해준다.

(하지만 모든 Rigidbody가 아닌 Active 상태일 때만 전달된다.)

**이러한 Force calculation은 FixedUpdate() 때 이루어진다.

using UnityEngine; // 이것을 쓰지 못하면 Rigidbody에 접근이 불가능함.

public class ExampleClass : MonoBehaviour
{
    public float thrust = 1.0f; //미는 힘
    public Rigidbody rb; // 해당 리지드바디

    void Start()
    {
        rb = GetComponent<Rigidbody>(); // 이 스크립트를 refer하는 오브젝트에서 리지드바디를 가져옴
    }

    void FixedUpdate()
    {
        rb.AddForce(transform.forward * thrust); //해당 방향으로 업데이트될 때마다 힘을 줌.
        // ForceMode를 안 써도 default 값으로 진행됨
    }
}

ForceMode는 무엇인가?

어떤 식으로 힘을 전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저것들의 차이는 질량을 무시하느냐? 또는 연속적인 힘이냐? 에 따라 달라진다.

 

Force는 연속 + 질량 무시 X

-> 현실적인 물리현상을 나타낼 때 많이 씀

 

Accel은 연속 + 질량 무시 O

->질량에 관계 없이 가속된다. 즉, 오브젝트의 질량에 관계없이 가속을 주고싶다면 이용한다.

 

Impulse는 불연속 + 질량 무시 X

-> 짧은 순간의 힘, 충돌이나 폭발과 같은 것에 많이 쓰인다.

 

Velocity Change 불연속 + 질량 무시 O

-> 마찬가지로 질량에 관계 없이 속도를 바꾼다. 질량이 다른 함대 같은 경우 같은 힘을 줘서는

같은 속도로 움직일 수 없는데 이 모드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AddRelativeForce라는 것이 있다. 원형을 보자면 아래와 같이 생겼다.

  • public void AddRelativeForce(Vector3 force, ForceMode mode = ForceMode.Force)

Adds a force to the rigidbody relative to its coordinate system.

RigidBody가 로컬 좌표계에 의해서 반영되는 것이다..

 

출처 : https://luv-n-interest.tistory.com/687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게임엔진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onClick.AddListener에서 함수의 파라미터 전달 문제  (0) 2023.01.14
[Unity] 안드로이드 플러그인 사용해보기  (0) 2023.01.09
[Unity] 트랜스폼을 이용해서 AI 만들기  (0) 2022.12.07
[Unity] 키보드와 마우스 입력받기  (0) 2022.12.04
[Unity] 입력 바인딩 시스템 만들기  (0) 2022.11.30
    '게임엔진/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nity] onClick.AddListener에서 함수의 파라미터 전달 문제
    • [Unity] 안드로이드 플러그인 사용해보기
    • [Unity] 트랜스폼을 이용해서 AI 만들기
    • [Unity] 키보드와 마우스 입력받기
    ShovelingLife
    ShovelingLife
    Main skill stack => Unity C# / Unreal C++ Studying Front / BackEnd, Java Python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