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개념- 1980년대 중반, RIP의 한계 발생 (대규모의 이질적인 네트워크 사이에서)-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SPF 알고리즘에 기반을 하고 인터넷에 적용하기 위해 IP 네트워크용 알고리즘 개발- RFC 1247 (OSPF 표준)- RFC 2328에 정의된 OSPFv2가 나오게 됨으로써 현재는 TCP/IP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 1) OSPF의 라우팅 계위- OSPF는 계위(hierarchy) 구조를 취함 2) OSPF의 동작처음 부팅시, HELLO 패킷의 교환을 통해 이웃한 라우터를 서로 인식 (이를 통해, 여러개의 라우터 중에서, 그 네트워크를 대표하여 경로 정보의 생성 및 분배 책임을 지는 지명(Desigated) 라우터..

[C] open, close, read 함수에 대하여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란? 리눅스와 유닉스에서는 시스템을 전부 파일로 처리하여 관리한다. (하드웨어 등 모든 장치도 포함) 시스템에서 프로세스가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라는 핸들이 필요하다. 해당 파일을 open할때( 해당파일에 접근할 때 ) 파일 디스크립터는 0부터 N까지 즉, 음수가 아닌 0부터 차례대로 숫자를 부여받으며, 0, 1, 2는 프로세스가 메모리에서 실행을 시작할때 기본적으로 할당되는 파일 디스크립터이다. 기본적으로 할당받는 파일 디스크립터 0번 : 표준 입력(Standard Input) / STDIN_FILENO 1번 : 표준 출력(Standard Output) / STDOUT_FILENO 2번 : 표준 에러(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