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K가 없는 경우 1
- 정보 프레임 분실 - 주어진 시간 내 응답(ACK 또는 NAK)이 오지 않았기 때문에 분실로 인지하고 프레임 재전송 (타임아웃 기능)
NAK가 없는 경우 2
- ACK 프레임 분실 - 수신 호스트로부터 응답이 오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 - i번 프레임을 수신했다는 응답을 보냈는데 또 전송된 것으로 응답이 분실됐음을 판단하여 응답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오류 극복
NAK가 없는 경우 3
- 정보 프레임 변형 - 따라서 수신 호스트에서 응답이 나가지 않음 - 위 두 가지 케이스와 동일하게 처리
NAK가 있는 경우 1
- 정보 프레임 변형 - 변형된 프레임을 무시하여 프레임 분실 오류와 동일하게 처리 - NAK가 없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 (타임아웃으로 재전송)
NAK가 있는 경우 2
- 정보 프레임 변형 - NAK를 이용하여 데이터 오류 통보 - 통보 받은 송신 호스트가 데이터 재전송 - 타임아웃이 되기 전 데이터를 재전송하므로 시간이 덜 걸리므로 NAK 응답이 없는 경우보다 더 효율적 - 그러나 다른 요인에 의해 NAK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