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자료구조 & 알고리즘

라우팅 알고리즘

ShovelingLife 2024. 9. 24. 14:20

1. 동적 라우팅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거리벡터(Distance Vector) : RIP, IGRP

. 개요

- 모든 이웃 라우터들에게 자신이 가진 모든 정보(불완전한 정보 포함)를 주기적으로 알려준다.

- 목적지 네트워크의 distance vector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

- 목적지까지 경로를 제공하지 않으며, 단지 목적지까지의 최소비용(홉수)만 제공

 

. 특징

- 노드 변경 시 주기적으로 이웃한 노드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공유 [산기, 143]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라우팅 테이블을 서로 교환

 

. 장단점

- 장점 : 네트워크의 distance 값에 대한 정보만 저장하기 때문에 장비의 메모리를 적게 사용

- 단점 :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발송함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은 더 발생한다.

             무한루프에 빠질 수 있다.

 

 링크-상태(Link State) : IS-IS, OSPF, SPF

-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기사, 143]

-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데이터베이스(LSDB)를 가짐  따라서, 장비의 메모리 사용이 많음.

- 네트워크 변화가 생길 때마다 라우팅 정보를 발송

- 대규모 네트워크에 접합,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지 않고 Link State DB가 동기화 되어

  Link State가 스스로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 인접 테이블에 저장

 

 경로 벡터(Path Vector) : BGP

  - 소스부터 모든 목적지까지의 경로는 스패닝 트리에 의해 결정

 

 하이브리드 : EIGRP

 

https://blog.naver.com/nologout/221337282351